2) 청구하기

1. 일반청구(원청구)하기

일반청구(원청구)란 주별 또는 월별 전체 진료 내역을 심평원에 처음으로 청구할 때 하는 청구입니다.

① 청구기간, 청구대상을 설정하고 청구구분을 "일반청구"로 설정합니다.

  • 월별: 1달 단위로 청구하는 경우

  • 주별: 일주일 단위로 청구하는 경우

② 청구 구분 선택 후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③ 청구할 내역 조회 작업이 완료되면 OneClick 청구점검 화면이 실행되며, 각 항목(청구오류 점검, 진료 항목 점검, 공단 등록 확인)을 클릭하면 각 항목별 내역이 조회됩니다.

  • OneClick 청구점검에 청구오류 점검 내역이 있는 경우 보험청구를 진행할 수 없습니다. 모든 항목을 더블 클릭하여 원인을 수정해야 보험청구가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역은 2. 청구점검 활용하기를 참고하세요.

주별 청구란

  1.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의 진료분에 대해 청구합니다.

  2. 월말, 월초가 이어지는 주는 각각 구분해 청구해야 합니다.

  3. 청구 주의 순서가 바뀌면 청구가 불가능합니다.

  4. 동일 월에 월별청구와 주별 청구를 병행할 수 없습니다.

주별 / 월별 청구 선택

  1. 급: 원하는 대로 선택해 진행 가능합니다.

  2. 병원급: 월단위 청구를 기본으로 합니다. ▶ 주단위 청구를 원할 경우, 심평원 본원에 신청해야 합니다.

④ 조회된 항목에 대하여 검토 작업을 진행합니다. 각 항목들을 클릭하면 우측 화면에서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블클릭 시, 해당 환자에 대한 보험차트 창이 팝업됩니다.

⑤ [청구]버튼을 클릭합니다.

⑥ 의사별 진료일수를 확인하고 수정이 필요한 경우 수정작업을 진행합니다.

⑦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심사담당자에게 전달할 내용이 있는 경우 참조내역을 기재합니다. (선택사항입니다.)

⑧ 청구구분 - [청구 전 사전 점검] 버튼을 클릭하여 사전점검을 진행합니다.

⑨ [청구 전 사전점검] 결과 확인 후 오류사항이 없을 경우 [심사평가원 청구] 버튼을 클릭하여 실제 청구를 진행하며, 오류가 있을 경우 오류를 수정한 후 실제 청구를 진행합니다.

상근의와 비상근의 진료일수 구분하기

  • 심평원에 비상근의로 인력신고가 되어 있는 경우 인정되는 최대 진료일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 상근의: 관계없음

  • 비상근의: 실제 진료일 X 0.5

비상근의인 경우, 진료일수 쉽게 설정하기 : [병원관리] - [직원관리] - [직원 등록정보]에서 해당 치과의사의 근무형태를 "비상근"으로 설정 시, 자동으로 진료일수가 조정됩니다.

2. 누락청구하기

누락청구란 이미 청구된 이전 청구분에서 누락된 진료분을 청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Ex) 5월 원청구 진행했으나 김수찬 환자의 5/13일 진료를 청구하지 못한 경우

원청구 후 청구 명세서 수신 모두 OneClick에서 진행한 경우

누락청구 조회 시 이전 청구명세서와 진료입력 내용을 자동으로 비교하여 누락된 청구 내역만 조회되어 간단하게 누락청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① 누락된 환자의 진료내역을 입력한 뒤 청구기간, 청구대상, 청구구분(누락청구)을 설정합니다.

② [조회]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합니다.

③ 실행된 팝업창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해줍니다.

  • 원청구 후 청구 명세서 수신을 진행하지 않은 경우 아래 알림창이 팝업됩니다.

④ 누락청구를 진행할 진료내역을 확인해줍니다.

⑤ [청구]버튼을 클릭하여, 청구 송신작업을 진행합니다.

3. 추가청구하기

추가청구란 이미 청구된 환자의 진료내역 중 누락된 내역이 있는 경우, 해당 환자의 누락된 진료내역을 추가로 청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Ex) 김수찬 환자 5/13일 근관치료 진료 중 근관확대 수가를 누락한 경우

원청구 후 청구 명세서 수신 모두 OneClick에서 진행한 경우

추가청구 조회 시 이전 청구명세서와 진료입력 내용을 비교하여 누락된 청구 내역 조회, 접수번호, 명일련번호 자동 기입, 누락된 진료항목 자동 선택되어 간단하게 추가청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① 누락된 진료내역을 추가로 입력하고, 청구기간, 청구대상, 청구구분(추가청구)을 설정합니다.

② [조회]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합니다.

③ 실행된 팝업창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해줍니다.

  • 원청구 후 청구 명세서 수신을 진행하지 않은 경우 아래 알림창이 팝업됩니다.

④ 조회된 추가청구 대상자를 선택하여 추가청구 정보창을 실행합니다.

⑤ 추가청구 정보 확인 창이 실행되면 접수번호와 명세서 일련번호가 자동으로 제공됩니다.

  • 만약 자동으로 해당 내역을 불러오지 못한 경우 EDI문서 수신에서 심사결과통보서 수신 후 다시 시행하거나 심사결과통보서를 확인하여 접수번호, 명세서 일련번호를 수기로 작성합니다.

⑥ 추가로 청구할 진료항목을 확인합니다.

  • 이전 청구 내용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선택되며, 필요한 경우 횟수 또는 금액을 클릭하여 수정 할 수 있습니다.

⑦ [저장] 버튼을 눌러 추가 청구할 내역을 저장합니다.

⑧ [청구] 버튼을 클릭하여, 청구 송신작업을 진행합니다.

4. 보완청구하기

보완청구란 이전에 청구한 건 중 [지급불능]으로 지급되지 않은 건을 사유에 맞게 보완해 재청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심사결과통보서를 받은 날로부터 3년 이내 청구할 수 있습니다.

원청구 후 청구 명세서 수신 모두 OneClick에서 진행한 경우 보완청구 조회 시 이전 청구명세서와 심사결과통보서를 비교하여 접수번호, 명번호, 심사불능 사유코드를 자동기입하여 간단하게 보완청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① 심사결과통보서에서 접수번호, 명번호, 심사불능 사유코드를 확인한 후 지급불능된 사유에 맞게 진료내역을 수정합니다.

  • 불능은 조정사유가 숫자로 기재된 내역입니다.

② 진료내역 수정 후 청구기간, 청구대상, 청구구분(보완청구)을 설정합니다.

③ [조회]버튼을 클릭하여 조회해줍니다.

④ 저장된 심사결과통보서에 심사불능 처리된 진료내역이 있는 경우 팝업이 실행되며 [확인] 선택 시 조회가 완료됩니다.

④ 조회된 보완청구 대상자 내역을 선택하여 보완청구 정보창을 실행 합니다.

⑤ 보완청구 정보 확인 창이 실행되면 접수번호와 명세서 일련번호, 심사불능 사유코드가 자동으로 제공됩니다.

  • 만약 자동으로 해당 내역을 불러오지 못한 경우 EDI문서 수신에서 심사결과통보서 수신 후 다시 시행하거나 심사결과통보서를 확인하여 접수번호, 명세서 일련번호, 심사불능 사유코드를 수기로 작성합니다.

⑥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보완청구 정보를 저장합니다.

⑦ [청구] 버튼을 클릭하여, 청구 송신작업을 진행합니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