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납하기

1. 수납하기

수납대기 환자 목록을 이용하여 당일 진료 입력한 환자에 대한 진료비를 손쉽게 수납하는 기능입니다.

① 수납대기자 목록에서 수납할 환자를 더블 클릭하면 하단에 해당 환자의 수납정보가 표시됩니다. ② 수납정보 확인 후 ‘수납 상세정보입력’에서 수납할 금액을 입력합니다. ③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수납 정보를 저장합니다.

전자차트 바로가기 버튼

메인 프레임에 선택된 메뉴가 전자차트가 아닌 경우, 수납 입력창에서 진료 내역 확인이 필요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2. 수납항목 추가하여 수납하기

전자차트에서 진료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수납 화면에서 ‘수납항목추가’를 이용하여 수납을 입력하는 기능입니다.

1) 비보험 수납하기

① [수납항목추가]버튼을 클릭합니다.

② 비보험진료항목을 선택합니다.

③ 비보험환자부담금을 입력합니다.

④ 카드/ 현금/ 기타(온라인) 중 수납한 금액을 입력합니다.

⑤ [저장]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수납 정보를 저장합니다.

비보험에서 보험본인부담금 차감

보험진료와 비보험 진료 동시 입력 시 비보험 진료비로 환자부담금을 청구할 때 사용합니다.

예) 비보험 600,000원 입력 후 [기타 수납정보선택]버튼 클릭 후 ‘비보험에서 보험본인부담금 차감’ 선택하면 보험본인부담금 4,100원을 비급여에서 차감하여 비급여 금액이 600,000원에서 595,900원으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환자부담금이 604,100원에서 600,000원으로 변경됩니다.

보험진료가 없는 날 보험 수납금 입력

진료항목을 '보험진료'로 설정 시 환자부담금 칸은 비활성화 됩니다.

2) 보험 수납하기 (5월 업데이트 예정)

보험진료가 없는 날 ‘수납항목추가’를 이용하여 보험 수납금 입력하는 기능입니다.

① [수납항목추가]버튼을 클릭합니다.

② 진료항목 '보험진료'를 선택합니다.

③ 카드/ 현금/ 기타(온라인) 중 수납한 금액을 입력합니다.

④ [저장]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수납 정보를 저장합니다.

'보험진료'로 진료항목 설정 시 왜 환자부담금 칸이 비활성화 되나요?

해당 기능은 이전에 보험 진료를 받았거나 받기 전에 수납하는 경우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보험진료 입력한 날과 다른 날에 수납항목 추가로 환자부담금 칸에 금액을 입력할 경우 환자 본인부담금이 이중으로 집계되기때문에 '보험진료'로 진료항목 설정 시 환자부담금 칸이 비활성화 상태로 노출됩니다.

3. 간편결제(페이) 수납 입력하기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의 경우에는 환자가 결제수단으로 카드 또는 계좌 연결로 설정할 수가 있습니다.

결제수단을 정확히 확인하여 입력하면 좋겠지만 모든 수납내역을 치과에서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여, 기타(온라인)란에 입력하시고 수납 메모에 결제 방식을 기재하시는 방법을 안내드리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① 기타(온라인)란에 수납금액을 입력하고 현금영수증 여부에 따라 체크박스에 체크합니다. - 제로페이, 지역화폐처럼 현금영수증이 자동 발급되거나 치과에서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준 경우 체크박스에 체크합니다.

② 카드사/페이란을 클릭하여 결제방식을 선택합니다.

카드사/페이에 원하는 카드사가 보이지 않는 경우

[수납 환경설정]-[카드사설정]에서 사용할 카드사를 체크하여 활성화합니다.

리스트에 표시되지 않는 항목은 '새로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